간단 설명
https://leeeehhjj.tistory.com/51
@RequestParam과 @PathVariable, @RequestBody의 차이
이 어노테이션들은 controller에서 프론트로부터 파라미터를 전달받을 때 사용하는 어노테이션들이다. 1. @RequestParam @GetMapping("club") public ClubResponseDto findById(@RequestParam(value = "id") Long id) { return clubSer
leeeehhjj.tistory.com
@RequestParam, @PathVariable, @RequestBody
https://elfinlas.github.io/2018/02/18/spring-parameter/ Spring에서 @RequestParam과 @PathVariable Spring에서 Controller의 전달인자…Spring을 사용하다 보면 Controller 단에서 클라이언트에서 URL에 파라메터를 같이 전달하
u0hun.tistory.com
https://charliecharlie.tistory.com/263
[Spring] @PathVariable, @RequestParam, @RequestBody, @ResponseBody
@PathVariable URI 경로의 일부를 파라미터로 사용할 때 이용(URI 경로에서 값을 가져온다) 템플릿 변수의 값을 추출하고 그 값을 메소드 변수에 할당하는데 사용된다. @RequestMapping("/users/{userid}", method=
charliecharlie.tistory.com
설명 잘 돼있음
스프링 controller에서 파라미터를 받는 다양한 방법 ( @RequestParam, @RequestBody, @PathVariable)
출처부터 남긴다https://takeknowledge.tistory.com/39컨트롤러에서 파라미터를 받을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있다 GET방식으로 넘어온 URI의 queryString을 받기에 적절해 html부터 단계별(?)로 밟아온 사람이라
velog.io
https://takeknowledge.tistory.com/39
스프링 controller에서 파라미터를 받는 다양한 방법 ( @RequestParam, @RequestBody, @PathVariable)
컨트롤러에서 파라미터를 받을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있다 1. @RequestParam 어노테이션 활용 GET방식으로 넘어온 URI의 queryString을 받기에 적절해 html부터 단계별(?)로 밟아온 사람이라면 가장 쉽게
takeknowledge.tistory.com
'Spring > study for projec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Gradle 버전 관련 Lombok 추가 시 에러 이슈 (0) | 2023.12.29 |
---|---|
Gradle 버전 확인 및 변경 방법 (0) | 2023.12.29 |
Date vs Datetime vs Timestamp (0) | 2023.12.29 |
PK UUID (0) | 2023.12.29 |
API 명세서 (0) | 2023.12.29 |